총 168건 중 168건 출력
, 6/17 페이지
-
51
-
언문소설의 문화적 위치와 문자적 근대의 역설 - 근대초기 ‘춘향전’의 매체 변이와 표기문자ㆍ독자층의 상호관련성 -
-
최기숙;
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13,
pp.405-444)
-
52
-
여종의 젖과 눈물, 로봇-종의 팔다리- ‘사회적 신체’로서의 노비 정체성과 신분제의 역설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22,
pp.181-219)
-
53
-
豹變의 한국고전문학, 연구와 교육 -글로벌ㆍ디지털 환경, 젠더 감수성, (기계)번역을 경유하여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22,
pp.217-258)
-
54
-
‘일사/유사’ 편집의 정치성과 젠더 정치의 무/의식―1916년 『매일신보』 연재 <일사유사>를 중심으로―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24,
pp.11-40)
-
55
-
매 맞는 노비와 윤리/교양의 역설 - 『묵재일기』의 문학해석학적 연구*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23,
pp.159-187)
-
56
-
노화의 공포와 공생 지향의 상상력 -구비설화 ‘고려장이 없어진 유래’(436-11유형)를 중심으로-
-
최기숙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13,
pp.196-230)
-
57
-
일상ㆍ노동ㆍ생애와 ‘성찰’의 힘, 대화의 공감 동력 - <미생>이 던진 질문과 희망
-
최기숙;
;
(대중서사연구,
v.22,
2016,
pp.235-278)
-
58
-
TV 드라마에서의 감성: <꽃보다 남자>의 한‧중 비교를 중심으로
-
펑;
최기숙;
香港中文大學;
연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13,
pp.363-399)
-
59
-
노년기 여성적 삶의 공론장, 17~19세기 여성 대상 壽序 -여성의 ‘잘 나이들기’에 대한 생애 성찰과 여성적 삶의 전범화
-
최기숙;
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11,
pp.87-129)
-
60
-
조선후기 양반 여성의 사회적 평판과 인정구조 재성찰
-
최기숙;
연세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21,
pp.185-2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