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『漂海錄』를 통해본 崔溥의 한국 고대사 인식
-
임상선;
동북아역사재단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13,
pp.71-105)
-
52
-
실기문학 속 사실체험 공간으로서의 바다 - 『노송당일본행록』, 『표해록』, 『월봉해상록』을 대상으로 -
-
김미선;
전남대학교;
(『도서문화』,
v.0,
2016,
pp.35-62)
-
53.
- 崔溥 漂海錄의 문학적 성격에 관한 연구
- 이화순
-
단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75p., 2015
-
54.
- 한국 해양표류사건에서 보이는 리더십의 중요성 연구 : 서남해안 해역 표류사건의 교훈을 중심으로
- 주희춘
-
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, 국내석사,
57장, 2011
-
55
-
장한철 ⟨표해록(漂海錄)⟩의 텍스트 형성 동인 연구
-
강문종;
제주대학교;
(해항도시문화교섭학,
v.0,
2020,
pp.37-60)
-
56
-
조선시기 표류경험의 기록과 활용
-
고석규;
목포대학교;
(『도서문화』,
v.0,
2008,
pp.3-32)
-
57
-
등변분포 수평하중을 받는 아웃리거 트러스 구조물의 근사해석 ( The Approximate Analysis of Outrigger-Braced Structures subjected to Linearly Varying Lateral Lading )
-
정동조;
김일중;
이용수;
김광서;
;
(大韓建築學會論文集 =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,
v.12,
1996,
pp.271-277)
-
58
-
김여휘의 표해록에 나타난 유구 체험
-
정우봉;
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24,
pp.195-230)
-
59
-
한국 실기문학의 일본어 번역양상 연구: 『당토행정기(唐土行程記)』와 『조선징비록(朝鮮懲毖錄)』을 중심으로
-
우채리;
고려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23,
pp.597-630)
-
60
-
조선시기 표류경험의 기록과 활용
-
고석규;
;
(島嶼文化,
v.31,
2008,
pp.3-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