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3건 중 153건 출력
, 6/16 페이지
-
51
-
New Possibilities of Clinical Humanities Anne Sexton, Choi Seung-ja, and Poetics of the Body
-
Chung, Eun-Gwi;
;
(비교한국학= Comparative Korean Studies,
v.26,
2018,
pp.183-217)
-
52.
- 1980년대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일상의 양가성 연구 : 이성복, 최승자, 황지우의 시를 중심으로
- 임선영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11 p, 2024
-
53
-
The Aspects of Anxiety Presented in Seungja Choi's Early Poetry
-
Lee, Younghee;
;
(韓國學論集,
v.92,
2023,
pp.169-218)
-
54
-
최승자 시에 반영된 부정적 언술과 실존의식
-
전재형;
한남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18,
pp.255-280)
-
55
-
우울증의 시적 발현 연구 -최승자의 시집 『이 時代의 사랑』을 중심으로-
-
이철송;
목포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 = Jorunal of Korean literary criticism,
v.58,
2018,
pp.61-83)
-
56
-
최승자 시에 나타난 탈식민주의 여성주의 - 1980년대 최승자 시집을 중심으로 -
-
임형진;
단국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4,
2022,
pp.1209-1221)
-
57.
- 최승자 시에 나타난 에로스(eros)와 타나토스(thanatos) 연구 : 『이 時代의 사랑』, 『즐거운 日記』를 중심으로
- 김설해
-
명지대학교, 국내석사,
iii, 95장, 2009
-
58
-
Prophetic power and cosmic imagination in the poetry of Choi Seung-ja: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lated text The House of the Spirits and Lovers, Lonely Far Away
-
Kim, Jeongshin;
;
(문화와 융합 = Culture and convergence,
v.44,
2022,
pp.337-349)
-
59
-
최승자 시의 여성 말년 양식
-
정끝별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24,
pp.273-306)
-
60.
- 1980년대 한·중 여성 페미니즘시 비교 연구 : 최승자와 수팅(舒?)을 중심으로
- 제기
-
공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85장, 201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