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18건 중 318건 출력
, 6/32 페이지
-
51
-
인문학, 편집술, 事的 글쓰기 혹은 緣起的 글쓰기
-
최재목;
;
(人文硏究,
v.45,
2004,
pp.277-294)
-
52
-
근대 영남 유학계에서 실학의 계승과 양명학 수용의 문제
-
최재목;
;
(철학논총,
v.13,
1997,
pp.121-152)
-
53
-
鄭寅普의 陽明學 이해 - 『陽明學演論』에 나타난 黃宗義 및 『明儒學案』이해를 중심으로
-
최재목;
;
(陽明學 = Yang-ming studies,
v.17,
2006,
pp.95-119)
-
54
-
양명학을 통해서 읽는 세상과의 ‘어울림’ - 天地萬物一體無間, 여성성, 섬세의 정신의 재음미
-
최재목;
;
(陽明學 = Yang-ming studies,
v.33,
2012,
pp.5-38)
-
55
-
王陽明 良知論에서 ‘靈明’의 意味
-
최재목;
;
(陽明學 = Yang-ming studies,
v.31,
2012,
pp.5-35)
-
56
-
元曉와 王陽明의 障碍論에 관한 비교
-
최재목;
손지혜;
;
(陽明學 = Yang-ming studies,
v.28,
2011,
pp.67-107)
-
57
-
원효의 『무애무(無㝵舞)』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조사
-
최재목;
손지혜;
;
(남북문화예술연구,
v.2009,
2009,
pp.213-245)
-
58
-
가을은 아름다운 공장이다
-
최재목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15,
2006,
pp.22-24)
-
59
-
[철학이 있는 시]나는 지금 무엇으로 행복해질 수 있는가?-나옹선사懶翁禪師의 시를 읽고
-
최재목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8,
2003,
pp.190-192)
-
60
-
총론: 이탁오를 다시 읽는다
-
최재목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16,
2007,
pp.41-62, 30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