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95건 중 295건 출력
, 6/30 페이지
-
51
-
역사적 재방문으로서의 재전시: 《태도가 형식이 될 때 1969 베른/ 2013 베니스》(2013)와 《백남준 : 모든 감각을 위한 음악》(2009) 전을 중심으로
-
현시원;
큐레이터, 시청각 대표;
(예술과 미디어,
v.21,
2022,
pp.131-151)
-
52
-
’90년대 한국미술의 새로운 좌표 모색 - 《태평양을 건너서》전과 《’98 도시와 영상》전을 중심으로
-
기혜경;
국립현대미술관;
(미술사학보,
v.0,
2013,
pp.43-77)
-
53
-
여성장르로서의 순정만화의 특성에 관한 연구 수용자 분석을 중심으로
-
곽선영;
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, PISAF 2001 큐레이터;
(만화애니메이션 연구=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,
v.5,
2001,
pp.237-269)
-
54
-
국외 기록관리 전문직 유형 및 역할 분석 연구
-
김희정;
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;
(한국기록관리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,
v.7,
2007,
pp.129-143)
-
55
-
현대미술에 있어서 '복제'의 개념과 전시규범의 문제 -<TEX>${ gg}$</TEX>살바도르 달리 탄생 100주년 특별전<TEX>${ gg}$</TEX>의 전시물 <성경> 연작을 중심으로
-
장동광;
독립 큐레이터;
(미술이론과 현장 = the Journal of art theory & practice,
v.2,
2004,
pp.169-190)
-
56
-
예술가와 공학자의 협업 모델: '예술과 기술의 실험' 그룹
-
임산;
동덕여자대학교 큐레이터학과;
(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: JCCT = 문화기술의 융합,
v.5,
2019,
pp.79-85)
-
57
-
시각예술잡지 『스튜디오 인터내셔널』의 담론생산: '이론가로서의 예술가'의 등장을 중심으로
-
임산;
동덕여자대학교 큐레이터학과;
(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: JCCT = 문화기술의 융합,
v.10,
2024,
pp.83-88)
-
58
-
미술관 개인 후원자 개발을 위한 멤버십 연구
-
이인선;
양지연;
국립현대미술관 홍보고객과;
동덕여자대학교 큐레이터학과;
(예술경영연구,
v.56,
2020,
pp.89-117)
-
59.
- 큐레이팅 기반의 미디어아트 유형 분석
- 이현정
-
숭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00, 2014
-
60.
- 빅데이터환경에서 이슈분석을 위한 디지털 큐레이션 프레임워크 연구
- 김홍기
-
中央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v, 60 p., 201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