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365건 중 1,000건 출력
, 6/100 페이지
-
51
-
다문화 학생을 위한 KSL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- 김윤주, 『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KSL 한국어 교육의 이해와 원리』(한국문화사, 2014) -
-
정성헌;
호서대학교;
(어문론총,
v.0,
2022,
pp.249-258)
-
52.
- 제 7차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고대문화부분 분석과 지도방안
- 황혜영
-
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ⅳ, 84 p., 2006
-
53
-
'명찰순례' 펴낸 최완수씨
-
김중식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143,
1994,
pp.2-3)
-
54
-
古代 韓國 複合社會 論議에 관한 批判的 檢討
-
Kim Gyong taek;
;
(文化史學 = Journal of Korean cultural history,
v.2006,
2006,
pp.5-27)
-
55
-
朝鮮佛敎史 硏究의 課題와 展望
-
김상현;
동국대학교;
(불교학보,
v.0,
2002,
pp.265-271)
-
56
-
신명커뮤니케이션 서설(序說)
-
윤태일;
;
(커뮤니케이션 이론= Communication theories,
v.5,
2009,
pp.8-50)
-
57
-
百濟 평기와 製作技法 一考 - 가래떡形(粘土帶) 素地를 중심으로
-
崔孟植;
;
(文化史學 = Journal of Korean cultural history,
v.1999,
1999,
pp.193-247)
-
58
-
19세기 韓英 航海文化交流와 朝鮮의 海禁政策
-
金源模;
;
(文化史學 = Journal of Korean cultural history,
v.2004,
2004,
pp.947-993)
-
59
-
朝鮮初期 已和大師 涵虛堂의 分舍利 石造浮屠에 대한 考察
-
嚴基杓;
;
(文化史學 = Journal of Korean cultural history,
v.2006,
2006,
pp.147-173)
-
60
-
竹州의 豪族과 奉業寺
-
金成煥;
;
(文化史學 = Journal of Korean cultural history,
v.1999,
1999,
pp.505-53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