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1
-
해방 전후 ‘유령인구’의 존재론
-
한민주;
홍익대학교;
(사이間SAI,
v.0,
2014,
pp.123-151)
-
52
-
캐나다 퀘벡의 언어정책
-
한민주;
이화여자대학교;
(불어불문학연구,
v.0,
2004,
pp.355-376)
-
53
-
스펙터클한 마술과 공감의 과학이 갖는 의미 연구 -1920~30년대 『어린이』를 중심으로-
-
한민주;
건양대학교;
(동아시아문화연구,
v.0,
2022,
pp.13-37)
-
54
-
아동 문학과 고딕-1960, 70년대 『소년세계』를 중심으로-
-
한민주;
건양대학교;
(동아시아문화연구,
v.0,
2024,
pp.175-205)
-
55
-
해방기 아동의 과학 교양과 발명의 정치학-아동잡지 『소학생』을 중심으로-
-
한민주;
건양대학교;
(동아시아문화연구,
v.0,
2018,
pp.117-142)
-
56
-
이상한 나라(Wonderland)의 과학적 글쓰기: 1930년대 후반 아동잡지 『소년』을 중심으로
-
한민주;
홍익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17,
pp.337-370)
-
57
-
냉전의 과학과 근대 아동의 미스터리 문화 연구
-
한민주;
건양대학교;
(동아시아문화연구,
v.0,
2021,
pp.35-61)
-
58
-
북한이탈주민의 정치적 정향: 20ㆍ30대의 남한 거주기간 의미 분석
-
김종원;
이현우;
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;
서강대학교;
(한국과 국제정치,
v.29,
2013,
pp.61-93)
-
59
-
자율적 외국어 학습을 위한 학습자 참여활동 연구
-
김현진;
한민주;
이화여고;
이화여자대학교;
(교육과학연구,
v.27,
1998,
pp.215-234)
-
60
-
프로아나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
-
허한솔;
한민주;
신서원;
인제대학교;
인제대학교;
인제대학교;
(인간.환경.미래,
v.0,
2024,
pp.201-23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