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,379건 중 1,000건 출력
, 6/100 페이지
-
51
-
신화를 바라보는 몇 가지 시각 -유년기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 신화 고찰
-
임종대;
이재황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47,
2006,
pp.210-246)
-
52.
- 신화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 : 한국과 중국 창세신화의 비교를 중심으로
- 종량
-
건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92 p., 2009
-
53.
- 신화의 서사구조를 활용한 희곡화 방법론 연구 : - 무속신화 ‘세경본풀이’와 설화 ‘이상한 우물’을 중심으로 -
- 오일영
-
세종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, 2017
-
54
-
韓ㆍ中 神話에 나타난 女神 비교 - 여신의 形象에 주목하여
-
송정화;
;
(道敎文化硏究 = Journal of the studies of Taoism and culture,
v.19,
2003,
pp.285-313)
-
55.
- 古朝鮮 開國神話를 模作한 日本開國神話 : 오카 마사오 岡 正雄의 연구론을 중심으로
- 장형업
-
國際腦敎育綜合大學校, 국내석사,
79장, 2012
-
56
-
[博士學位論文] 중국신화의 변용 양상 연구 - 春秋戰國時代부터 秦漢代까지의 神話를 중심으로
-
정진선;
;
(中國小說硏究會報= Newsletter for research in Chinese novels,
v.2010,
2010,
pp.39-44)
-
57
-
신화를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-<삼성신화를 중심으로>-
-
김경애;
소인호;
청주대학교;
청주대학교;
(청람어문교육,
v.0,
2023,
pp.213-240)
-
58
-
일본 상대 문헌신화에 나타난 韓国像 - ‘천손강림신화’속의 ‘韓國’을 중심으로
-
이창수;
경희대학교;
(비교문화연구,
v.22,
2011,
pp.125-150)
-
59
-
한ㆍ중 신검신화에 보이는 신검의 상징성 연구
-
徐裕源;
;
(中國語文論譯叢刊 =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, Literature and Translation,
v.17,
2006,
pp.21-44)
-
60
-
신화를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 <고스트 메신저>에 나타난 디지털 세계관의 양상과 의미
-
김진철;
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스토리텔링학과;
(만화애니메이션 연구=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,
v.49,
2017,
pp.299-32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