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75건 중 175건 출력
, 7/18 페이지
-
61
-
『萬葉集』의 梅花-卷5의 梅花歌群을 중심으로-
-
최광준;
;
(일어일문학연구,
v.77,
2011,
pp.203-220)
-
62.
-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'민족개조사상'과 '몸'의 관계양상에 관한 연구
- 신정숙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151 p., 2003
-
63.
- 일본 중학교 교과서에 실린 하이쿠 연구 : 교육적 목표와 관련하여
- 최인근
-
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86 p., 2011
-
64.
- 일제시기 한국 녹음문화의 역사민족지 : 제국질서와 미시정치
- 야마우치 후미타카
-
韓國學中央硏究院, 국내박사,
xi, 304 p., 2009
-
65
-
カトリックの宣教と「煙草と悪魔」(芥川龍之介)
-
조사옥;
;
(일어일문학연구,
v.77,
2011,
pp.305-325)
-
66.
- 日本近代小設の韓國における飜案に關する硏究 : 『己が罪』·『金色夜叉』·『捨小丹』について
- 한광수
-
專修大學, 국외박사,
946 p., 1995
-
67
-
帰化する女優⋅李礼仙 - 唐十郎『新⋅二都物語』論 -
-
임상민;
;
(Journal of Japanese Culture,
v.,
2012,
pp.177-196)
-
68
-
『관광조선(観光朝鮮)』에 나타난 ‘재조일본인’의 표상 -반도와 열도 일본인 사이의 거리-
-
서기재;
건국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2,
pp.339-358)
-
69
-
지배와 향수-근현대일본의 大連 표상-
-
이수열;
한국해양대학교;
(일어일문학,
v.0,
2011,
pp.337-351)
-
70
-
1900년대 초 한・일 소설에 나타난 <빈궁> - 히구치 이치요의 「섣달그믐(大つごもり)」과 주요섭의 「개밥」을 중심으로 -
-
정세진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일어일문학연구,
v.130,
2024,
pp.279-29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