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4건 중 114건 출력
, 7/12 페이지
-
61
-
Die koreanische Partikel (n)ŭn und ihre Entsprechungen im Deutschen
-
강병창;
한국외대;
(독어학,
v.0,
2008,
pp.1-23)
-
62
-
독일어와 한국어의 은유적 감정 표현에 대한 코퍼스기반 인지언어학적 접근
-
강병창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독일언어문학,
v.0,
2014,
pp.1-29)
-
63
-
‘따뜻함’과 ‘뜨거움’의 온감 연어에 나타나는 비유적 의미 확장― 한국어, 영어, 독일어의 비교
-
강병창;
한국외국어대학교;
(국제어문,
v.0,
2012,
pp.151-181)
-
64
-
독일어와 한국어 손 관용구의 비유적 의미구성 비교 -은유, 환유, 은환유를 중심으로-
-
강병창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독어교육,
v.50,
2011,
pp.81-104)
-
65
-
세미오시스와 인지의 관점에서 본 완곡어법
-
강병창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독일어문학,
v.21,
2013,
pp.1-24)
-
66
-
언어유희의 유머 효과: 독일어의 유머러스한 조어를 중심으로
-
강병창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언어와언어학,
v.0,
2016,
pp.1-24)
-
67
-
독일어 ‘앞마당 Vorfeld’의 어순변동과 문법교육
-
강병창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어로서의 독일어,
v.0,
2005,
pp.173-195)
-
68
-
독일어 억양 교육에 대하여
-
강병창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어로서의 독일어,
v.13,
2003,
pp.35-57)
-
69
-
결합가와 정보구조-독일어 장소동사의 결합가 실현 문제에 대하여-
-
강병창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독어학,
v.5,
2002,
pp.91-108)
-
70
-
내러티브 유머에서의 부조화 인지 및 해소 방식
-
강병창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독어학,
v.0,
2014,
pp.35-5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