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7건 중 107건 출력
, 7/11 페이지
-
61.
- 중국 설창예술 <이마칸(伊瑪堪)>의 음악적 연구
- 루자오양
-
영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ⅻ, 141 p., 2024
-
62.
- 1960-1975년 ‘대구인혁그룹’ 연구
- 윤정원
-
경북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ⅶ, 304 p., 2020
-
63
-
조선 전기 불화의 서사적 표현, 佛敎說話圖
-
박은경;
;
(美術史論壇 = Art history forum,
v.21,
2005,
pp.137-170)
-
64.
- 젠더문화 시각으로 분석한 “앵앵고사”의 변천 연구
- 陈瑶艺
-
부산대학교, 국내석사,
69, 2023
-
65.
- 젠더문화 시각으로 분석한 “앵앵고사”의 변천 연구
- 진, 요예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69 장, 2023
-
66
-
한국 우란분재(盂蘭盆齋)의 역사적 전개와 연희양상
-
최유진;
고려대학교;
(민속학연구,
v.0,
2016,
pp.81-108)
-
67.
- 豫劇 豫西調의 形成과 變遷 연구
- 이허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i, 171 p., 2022
-
68
-
상하이 둥와이탄의 산업유산 재생에서 나타나는 지역주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
-
샤중쥔;
한태권;
호서대학교;
호서대학교;
(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,
v.16,
2021,
pp.135-146)
-
69
-
삼척 안정사 땅설법 <안락국태자경(安樂國太子經)>의 연행 성격 -문자기록, 회화와의 비교를 통하여
-
김형근;
전북대학교 무형유산정보연구소;
(민속학연구,
v.0,
2021,
pp.149-187)
-
70
-
한국의 불교그림과 공연 - 삼척 안정사에서 연행되는 땅설법을 중심으로 -
-
김형근;
동아대 기초교양대;
(공연문화연구,
v.41,
2020,
pp.219-25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