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,811건 중 1,000건 출력
, 7/100 페이지
-
61
-
무형문화유산으로서 말총공예 전통의 지속과 변화
-
황경순;
국립문화재연구소;
(문화재,
v.47,
2014,
pp.160-171)
-
62.
- 초등 방과 후 학교 도자공예 프로그램 개발 연구
- 강경호
-
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74 p., 2015
-
63
-
건축가 A. 딕슨의 초기작품에 나타난 예술과 공예운동의 특성
-
황보봉;
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;
(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=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-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,
v.20,
2019,
pp.263-268)
-
64
-
수공예 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불안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
-
김지훈;
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;
(디지털융복합연구 =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,
v.17,
2019,
pp.251-258)
-
65
-
미술과 디자인의 모태로서 근대 ‘공예’ 용어의 동아시아적 개념과 융합적 가치
-
Chang, Juyoung,;
MyungHee Lee,;
;
(한국디자인포럼 = Journal Korea society of visual design forum,
v.25,
2020,
pp.209-218)
-
66
-
나전칠 공예품 제작과 수급(需給)에 관한 연구 - 나전칠기장 민종태 제작 활동를 중심으로 -
-
채영;
서울공예박물관 전시기획과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56,
2023,
pp.100-115)
-
67
-
한국 공예의 미의식 - 節用의 수범과 大觀의 너른 품
-
최공호;
;
(美術史論壇 = Art history forum,
v.35,
2012,
pp.239-260)
-
68.
- 근현대시기 한국 여성의 수공예 실천과 그 의미변화
- 문예은
-
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vii, 163 p., 2019
-
69
-
공예라는 전통과 캐논의 성립: 고미술과 미술공예
-
노유니아;
일본학술진흥회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53,
2020,
pp.128-141)
-
70
-
유리공예 전문가가 본 우리나라의 유리산업의 현실과 전망
-
송희;
;
(세라미스트 = Ceramist,
v.2,
1999,
pp.37-4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