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,028건 중 1,000건 출력
, 7/100 페이지
-
61
-
농업·농촌자원 보전을 위한 국가중요농업유산 도입과 향후 과제
-
박종준;
김상범;
이응철;
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;
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;
일본 사가대학교 농학부;
(농촌계획 : 韓國農村計劃學會誌,
v.19,
2013,
pp.161-175)
-
62
-
국가 유산 '명승'의 조사 기록을 위한 가치 범주의 구상: '문화 경관으로서의 명승'의 관점에서
-
전종한;
경인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;
(대한지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,
v.49,
2014,
pp.563-584)
-
63
-
체계적인 향토유산 보존・관리 및 활용을 위한 향토유산 조례 연구: 지방자치단체 향토유산 조례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
-
강용수;
전인석;
국가유산정책연구원;
국가유산정책연구원;
(지방행정연구,
v.38,
2024,
pp.229-252)
-
64
-
고립된 국가유산을 위한 국가유산 관리 플랫폼 구현
-
황상호;
최준형;
천승만;
재경북IT융합산업기술원;
재경북IT융합산업기술원;
재경북IT융합산업기술원;
(한국설비안전학회지,
v.29,
2024,
pp.79-88)
-
65
-
Policy Improvement Plans for Korea's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in Prepar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Agricultural Heritage Districts - Focusing on the Agri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Process of County A -
-
Kwon, Bong Kwan;
;
(韓國民俗學= The Korean folklore,
v.80,
2024,
pp.73-107)
-
66
-
국가중요어업유산의 유네스코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전략 연구
-
김기동;
이웅규;
강릉영동대학교;
백석대학교;
(한국도서연구,
v.37,
2025,
pp.49-64)
-
67
-
정치에 대한 올림픽의 정치 효과 : 스포츠를 통해 정의 된 국가 유산
-
Shipton, Nicole Jody;
Tizzard, David;
;
(관광경영연구 =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research,
v.22,
2018,
pp.1095-1126)
-
68
-
중국 몽골족의 국가급 무형문화유산에 관한 고찰
-
최형섭;
서울대학교;
(중국소설논총,
v.0,
2014,
pp.345-374)
-
69.
- 도메인네임에 관한 탐색적 연구 : 문화유산 및 국가상징어를 중심으로
- 강경호
-
東亞大學校 言論弘報大學院, 국내석사,
v, 86p., 2001
-
70
-
문화다양성의 역설: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협약과 국가주의
-
박선희;
;
(문화와 정치,
v.6,
2019,
pp.85-11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