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547건 중 1,000건 출력
, 7/100 페이지
-
61
-
6·25전쟁 이전 북한의 군사원호사업 연구
-
김선호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현대북한연구,
v.28,
2025,
pp.7-48)
-
62
-
러시아 재이주(再移住) 한인의 난민적 상황과 인권보호
-
심헌용;
김재기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전남대학교;
(민주주의와 인권,
v.4,
2004,
pp.117-150)
-
63
-
민족문화자치제(National Cultural Autonomy)의 사상적 기원과 실제
-
심헌용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한국과 국제정치,
v.22,
2006,
pp.185-219)
-
64
-
북한의 기억의 정치와 푸에블로호 호명
-
이신재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현대북한연구,
v.17,
2014,
pp.156-196)
-
65
-
북한의 소련군 규정・교범 번역과정 연구(1945~1950)
-
김선호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22,
pp.367-400)
-
66
-
朝鮮時代 封典을 위한 印章과 誥命의 歷史的 意味
-
김경록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명청사연구,
v.0,
2019,
pp.1-36)
-
67
-
明 洪武年間 遼東認識과 軍政體制
-
김경록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명청사연구,
v.0,
2019,
pp.167-199)
-
68
-
한국전쟁 이전 소련의 북한 공군지원 고찰(1945∼1950)
-
이신재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현대북한연구,
v.19,
2016,
pp.234-268)
-
69
-
군사외교를 통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대외적 자율성 확보 정책 : 아시아·태평양전쟁 시기 한국광복군의 자주권 회복 및 미국·영국군과 군사합작 활동을 중심으로
-
최정준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한국과 국제사회,
v.6,
2022,
pp.5-30)
-
70
-
군사협상과 군사도발 병행 행태를 통해 본 북한의 대남전략
-
이미숙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통일정책연구,
v.20,
2011,
pp.125-15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