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
-
9세기 신라인의 출현에 대한 일본의 대응
-
김창겸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신라사학보,
v.0,
2013,
pp.111-162)
-
62
-
신라 元聖王의 先代와 血緣的 背景에 대한 재검토
-
김창겸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학논총,
v.34,
2010,
pp.391-415)
-
63
-
신라의 悉直國 복속과 지방통치의 추이
-
김창겸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신라사학보,
v.0,
2014,
pp.223-261)
-
64
-
신라말 고려초 平澤林氏의 등장
-
김창겸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신라사학보,
v.0,
2015,
pp.111-140)
-
65
-
强首와 新羅 社會
-
김창겸;
한국학중앙연구원선임연구원;
(진단학보,
v.0,
2006,
pp.33-66)
-
66
-
신라 하대 왕실세력의 변천과 왕위계승
-
김창겸;
한국정신문화연구원;
(신라문화,
v.0,
2003,
pp.81-103)
-
67
-
신라 하대 정치형태와 국왕의 위상
-
김창겸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16,
pp.161-192)
-
68
-
김천 葛項寺石塔記와 신라 元聖王家의 위상
-
김창겸;
김천대학교;
(신라문화,
v.60,
2022,
pp.231-252)
-
69
-
신라 開仙寺石燈의 건립과 ‘大娘主’의 정체
-
김창겸;
김천대학교;
(신라사학보,
v.0,
2020,
pp.281-309)
-
70
-
한국의 姓貫制와 本貫 ‘慶州’ 姓氏
-
김창겸;
김천대학교;
(민족문화논총,
v.0,
2021,
pp.9-4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