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
-
미래는 끝나지 않았다: 마가렛 애트우드와 김초엽 소설에 나타난 지구 종말이후의 이야기들
-
전소영;
경희대학교;
(동서비교문학저널,
v.0,
2023,
pp.291-309)
-
62
-
재난서사의 새로운 동향과 포스트휴먼 감수성의 출현 ―김초엽, 정세랑, 듀나의 소설을 중심으로
-
이소연;
연세대학교;
(탈경계인문학Trans-Humanities,
v.15,
2022,
pp.55-77)
-
63
-
재난서사의 새로운 동향과 포스트휴먼 감수성의 출현 ―김초엽, 정세랑, 듀나의 소설을 중심으로
-
이소연;
연세대학교;
(탈경계인문학Trans-Humanities,
v.15,
2022,
pp.55-77)
-
64
-
사변적 페미니즘으로 본 SF 현상과 연결됨의 윤리 - 「얼마나 닮았는가」, 「리셋」, 「오래된 협약」을 중심으로 -
-
연남경;
이화여자대학교;
(이화어문논집,
v.0,
2023,
pp.65-102)
-
65
-
Scientific Imagination and Human Exploration in SF Narratives :Focusing on Kim Cho-yeop’s “Why Do Pilgrims Never Return?”
-
Oh, Eun Yeop;
;
(교양학연구 =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,
v.28,
2024,
pp.115-140)
-
66
-
The Catastrophism in SF disaster narratives and the Ethical paradigm of the Age of science and technology -Focusing on Kim Cho-yeop's Greenhouse at the End of the Earth
-
Yoon, Ae-Kyung;
;
(현대소설연구 =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,
v.95,
2024,
pp.273-300)
-
67
-
서간체 소설의 문학교육적 의미 — <제야>, <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>를 중심으로
-
김수지;
김서율;
한양대학교;
한양대학교;
(국어교육학연구,
v.56,
2021,
pp.43-74)
-
68.
- 한중 SF 뉴웨이브 여성 작가의 이화(異化) 시점 비교 연구 : 『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』과 『고독 깊은 속』을 중심으로
- 김채이
-
숭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32 p., 2024
-
69
-
The power of loose communities against unequal calamities - Focusing on 『Greenhouse at the End of the Earth』by Choyeop Kim and 『Snowball Drive』by Yeeun Cho
-
Oh, Hey-jine;
;
(語文論集 = The journal of language & literature,
v.95,
2023,
pp.373-397)
-
70
-
한국 소설에 나타난 데이터와 알고리즘에 대한 상상력: 김초엽의 「관내분실」과 장강명의 「데이터 시대의 사랑」을 중심으로
-
신성환;
한양대학교;
(동서인문,
v.0,
2023,
pp.179-22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