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
-
지역원형 탐구의 의의 : 강릉 한송정을 중심으로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23,
pp.35-58)
-
62
-
명승 구성의 방식과 유형화의 길 - 경포대 소재 시문을 중심으로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한국언어문학,
v.0,
2018,
pp.117-145)
-
63
-
녹문 임성주의 근본주의적 재도론과 도학시의 세계
-
김풍기;
강원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23,
pp.109-141)
-
64.
- 현장탐방학습을 통한 고전문학 연구 : 「寧三別曲」을 중심으로
- 박혜진
-
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71, 2014
-
65.
- ?최척전? 교수학습 방법 연구 - ‘한 학기 한 권 읽기’ 수업모형을 중심으로 -
- 김영길
-
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86, 2021
-
66.
- 고전 문학의 서사적 맥락을 활용한 스토리 변형 양상
- 전혜성
-
강원대학교, 국내석사,
67 L., 2017
-
67.
- <丙寅燕行歌>와 <北行歌>의 비교 연구
- 선평원
-
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63 p., 2013
-
68.
- 고전문학에서 독서토론의 필요성과 효과 : <관동별곡>에 대한 토론 사례를 중심으로
- 주미정
-
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64, 2015
-
69.
- 현대 중국의 군사력 건설방향 분석 : 손자병법 '세(勢)' 개념과 평화 연관성 연구를 중심으로
- 염민혁
-
강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ⅳ,62 L., 2021
-
70
-
민족 개념의 변주와 아리랑 너머의 아리랑
-
백형민;
김풍기;
강원대;
강원대학교;
(Journal of korean Culture,
v.63,
2023,
pp.243-26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