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
-
한국사 발전의 대세
-
노용필;
충북대학교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21,
pp.363-374)
-
62
-
新羅 中古期 書寫・刻石・立碑 專門家의 分化와 書法・金石學의 發達
-
노용필;
한국사학연구소;
(史叢(사총),
v.0,
2022,
pp.1-40)
-
63
-
新羅 金志誠의 道敎思想 受容과 그 特徵
-
노용필;
충북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22,
pp.93-126)
-
64
-
안정복 · 이규경의 이마두 《천주실의》 인용 양상 비교 검토
-
노용필;
충북대학교;
(교회사연구,
v.0,
2018,
pp.79-118)
-
65
-
淸末 黃遵憲의 『日本雜事詩』・『日本國志』 著述과 그 史學史的 意義
-
노용필;
한국사학연구소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19,
pp.143-189)
-
66
-
谷川士淸 『日本書紀通證』·本居宣長 『古事記傳』의 史學史的 意義
-
노용필;
한국사학연구소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23,
pp.251-286)
-
67
-
新羅 金仁問의 道敎思想 受容과 그 特徵
-
노용필;
한국사학연구소;
(역사학연구,
v.0,
2023,
pp.115-148)
-
68
-
日本 寺島良安과 淸 黃遵憲의 百濟 王仁 「千字文」 日本 傳播 確認論 比較 檢討
-
노용필;
충북대학교;
(서강인문논총,
v.0,
2022,
pp.5-32)
-
69
-
일본 江戶時代 谷川士淸 『日本書紀通證』의 백제 왕인 鍾繇 『천자문』 일본 전파 확인론
-
노용필;
한국사학연구소;
(백제문화,
v.0,
2023,
pp.5-3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