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
-
『論語集註』의 문헌학적 읽기(2) -『論語集註大全』 「學而」편 1장 小註의 評釋과 刪定-
-
류준필;
서울대학교;
(고전번역연구,
v.0,
2022,
pp.97-153)
-
62
-
⟨김현감호⟩형 서사의 비교문학적 접근
-
류준필;
인하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7,
pp.149-192)
-
63
-
碧史 李佑成과 ‘한국문학사’의 인식 및서술 체계― 《국문학사》와 《한국문학통사》와의 관련을 중심으로
-
류준필;
서울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23,
pp.73-99)
-
64
-
《論語集注》의 문헌학적 읽기(1)― 「學而」편 1장의 주석 분석
-
류준필;
서울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21,
pp.293-348)
-
65
-
農巖 金昌協의 論語學과 그 경학사적 위상 -「農巖雜識ㆍ內篇三」의 ‘論語說’을 중심으로-
-
류준필;
이영호;
인하대학교;
성균관대학교;
(漢文學報,
v.19,
2008,
pp.1177-1200)
-
66
-
韓國儒學資料의 匯集과 電算化 -‘한국경학자료시스템’과 ‘한국주자학용어검색시스템’을 중심으로-
-
김경호;
류준필;
이영호;
성균관대학교;
인하대학교;
성균관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09,
pp.301-322)
-
67
-
한국 근대문헌 디지털 아카이브의 설계: 『 진단학보』를 중심으로
-
홍종욱;
장문석;
류준필;
서울대학교;
경희대학교;
서울대학교;
(인문연구,
v.0,
2025,
pp.79-122)
-
68
-
Research of ITKC(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)'s professionals translator Training system
-
Jae Kyo Jin,;
류준필,;
조성덕,;
Jihun Yoon,;
Choi-Sik,;
신영주,;
;
(민족문화,
v.33,
2009,
pp.277-311)
-
69.
- 『東萊博議』의 문장 작법과 『左傳』 인식
- 윤한솔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ⅴ, 178, 2022
-
70
-
동아시아 근대 매체, 언어, 검열 연구의 궤적과 미래
-
이혜령;
성균관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20,
pp.113-14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