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85건 중 585건 출력
, 7/59 페이지
-
61
-
An Acceptance and Circulation of History of the Fall of Vietnam(越南亡國史) in the 1900s, East Asia
-
Kang Young Shim,;
;
(梨花 史學 硏究,
v.49,
2014,
pp.79-118)
-
62
-
근대의 황홀과 공포 ― 청말 민초 공상과학소설과 망국멸종의 환상서사
-
서유진;
연세대학교;
(중국현대문학,
v.0,
2018,
pp.1-29)
-
63
-
전통적 지식인의 망국 인식 : 김윤식·김택영·박은식의 경우
-
황재문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10,
pp.315-335)
-
64
-
亡國 이후 深齋 曺兢燮과 耕齋 李建昇의 교유 일면
-
전송희;
부산대학교;
(동양한문학연구,
v.70,
2025,
pp.167-198)
-
65
-
한국 현대정치의 근본 언어: 망국·개조·선진국의 담론
-
강정인;
정승현;
서강대학교;
서강대학교;
(한국정치연구,
v.20,
2011,
pp.1-28)
-
66
-
Multiple Translations of 「New Theory on a Disappearing Country」 Under the Korean Empire - Focusing on the editions of 『Joyangbo』 and the History of the Loss of Vietnam -
-
Son, Sung-jun;
;
(國際語文 =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,
v.95,
2022,
pp.275-310)
-
67
-
Korean Migration in Harbin during the Imperial Age
-
Kim, Joo Yong;
;
(韓中關係硏究 = Korean chinese relations review,
v.6,
2020,
pp.195-220)
-
68
-
가공식품<TEX>$ cdot$</TEX>패스트푸드 먹인후 핸드폰 선물은 망국적인 어린생명 학대행위이다
-
정진영;
한국유기농업협회;
(건강과 자연농업 = The health & organic farming,
v.217,
2005,
pp.1-1)
-
69
-
망국과 國家 表象의 의미 변화 : 태극기, 오얏꽃, 무궁화를 중심으로
-
목수현;
;
(한국문화,
v.0,
2011,
pp.153-174)
-
70
-
淸末民國時期 ‘朝鮮亡國史’의 출판, 유통 및 사회적 반향
-
徐丹;
李春圓;
중국 천주사범대학교;
중국 샤먼대학교;
(중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20,
pp.31-5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