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7건 중 97건 출력
, 7/10 페이지
-
61
-
위암 수술 환자에서의 삶의 질 -WHOQOL-BREF의 타당도 및 유용성-
-
박이진;
가톨릭대학교;
(Journal of Gastric Cancer,
v.4,
2004,
pp.263-267)
-
62
-
귀환자(引揚者)의‘전후’ 전후일본의 균열지점
-
박이진;
서울대학교;
(비교일본학,
v.27,
2012,
pp.23-48)
-
63
-
安部公房の<越境>- 安部公房が語る亡命者のガルシア=マルケス -
-
박이진;
성균관대학교;
(비교일본학,
v.25,
2011,
pp.233-254)
-
64
-
‘변경’을 향한 망명 - ‘외지 귀환파’ 아베 고보의 탈국가적 상상력 -
-
박이진;
성균관대학교;
(日本學硏究,
v.45,
2015,
pp.163-186)
-
65
-
일본 태교론의 전통과 근대
-
박이진;
Academy of East Asian Studies, Sungkyunkwan University;
(日本思想,
v.0,
2021,
pp.117-146)
-
66
-
전후 일본의 혼혈 담론-GHQ 점령기를 중심으로
-
박이진;
성균관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18,
pp.235-267)
-
67
-
집합기억으로서의 전후- 1970년대 『인간의 증명』 속 기원의 이야기 -
-
박이진;
성균관대학교;
(일본학보,
v.0,
2017,
pp.75-94)
-
68
-
하프, 또 하나의 일본인론 -현대 일본 인종주의의 ‘전후적’ 기원-
-
박이진;
성균관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21,
pp.109-128)
-
69
-
19세기 후반 일본 여자교육의 모델이 된 여성들― 수신 교과서 《婦女鑑》의 인물 구성 연구
-
박이진;
성균관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22,
pp.337-378)
-
70
-
혼혈아 외부화 프로세스와 대중문화― 경제성장기 일본사회의 혼혈아 표상
-
박이진;
성균관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21,
pp.283-31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