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473건 중 1,000건 출력
, 7/100 페이지
-
61.
- OECD 31개국의 복지국가 레짐과 모자건강에 대한 다수준분석
- 정유진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46 p, 2022
-
62
-
복지국가소사이어티의 이론과 실천, 《복지국가혁명》, 《대한민국, 복지국가를부탁해》, 《역동적 복지국가의 논리와 전략》
-
차승일;
;
(마르크스21 = Mareukeuseu21,
v.2010,
2010,
pp.311-339)
-
63
-
한국 복지국가 성격, 끝나지 않은 논쟁의 성취와 과제, 정무권 편, 『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 Ⅱ』(인간과 복지, 2009)
-
김수정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85,
2010,
pp.291-296)
-
64
-
노동조합과 복지국가 선호
-
권혁용;
고려대학교;
(한국정당학회보,
v.12,
2013,
pp.303-322)
-
65.
- 신사회적 위험과 복지국가 재구조화 연구, 1985-2010
- 양종민
-
서울대학교, 국내박사,
xi, 276 p., 2017
-
66
-
복지국가, 사회복지사의 정치력이 좌우 한다
-
김태영;
한국사회복지사협회;
(Social workers,
v.11,
2005,
pp.4-13)
-
67
-
신제도주의적 관점에 기초한 ‘복지국가 축소 유형화’ 논의
-
강지원;
임은정;
이홍직;
;
(社會科學硏究 : 慶星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,
v.24,
2008,
pp.175-202)
-
68
-
복지국가에 대한 페미니스트 관점의 기여와 한계
-
장지연;
;
(한국사회학 = Korean journal of sociology,
v.38,
2004,
pp.177-200, 212)
-
69
-
복지국가론의 이해
-
홍성걸;
;
(勞動 問題 論集= Journal of labor studies,
v.11,
1994,
pp.385-409)
-
70
-
"친복지정치 - 유럽 복지국가 변화의 분석을 위한 하나의 모델"
-
안상훈;
;
(상황과 복지,
v.2000,
2000,
pp.271-27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