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52건 중 752건 출력
, 7/76 페이지
-
61
-
학습 유형별 書堂의 敎育方法을 활용한 韓國傳統文化 수업
-
함정현;
한서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10,
pp.365-392)
-
62
-
'파산서당'의 영건과정과 조경식물 변화상 탐색
-
주빈;
최하영;
신상섭;
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건설공학과;
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건설공학과;
우석대학교 조경학과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51,
2018,
pp.48-65)
-
63
-
서당의 교육과 풍속 및 놀이
-
장재천;
용인대학교;
(한국사상과 문화,
v.0,
2009,
pp.313-344)
-
64.
- 청학동 서당에서 일반학교를 다니는 학생들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
- 김유나
-
경상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, 108 p., 2019
-
65
-
The Financial Ground of Seodang in Andong during the 16th Century
-
Lee , Soo Hwan;
;
(民族文化論叢= The journal of Korean cultural studies,
v.69,
2018,
pp.171-199)
-
66
-
朝鮮朝 書堂의 書籍 刊行과 收藏에 관한 硏究
-
배현숙;
계명문화대학;
(서지학연구,
v.0,
2006,
pp.5-40)
-
67
-
유가적 사유에 의한 도산서당 원림(園林) 이해 - 유가의 재현성, 관계성, 수양의 특성을 중심으로 -
-
박연규;
경기대학교;
(철학∙사상∙문화,
v.0,
2013,
pp.60-86)
-
68.
- 書堂의 生成過程과 그 敎育的 役割
- 이강석
-
慶尙大學校, 국내석사,
ii,50장, 1992
-
69.
- 조선후기 서당의 교육적 역할에 관한 연구
- 조형춘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64 p., 1996
-
70
-
공간형 콘텐츠로서 도산서당 활용에 대한 시론
-
전성건;
안동대학교;
(유학연구,
v.65,
2023,
pp.1-2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