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8건 중 158건 출력
, 7/16 페이지
-
61.
- 「진단시 동인」의 시에 나타난 전통의식
- 최서진
-
성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87p., 2005
-
62.
- 한·중 상징주의 시론과 시 비교연구
- 배선미
-
아주대학교, 국내박사,
206, 2021
-
63
-
이성선의 메타시학 양상
-
남기택;
;
(인문학논총 :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= The Journal of humanities,
v.31,
2013,
pp.1-20)
-
64.
- 박성룡의 시세계 연구
- 고현송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119 p., 2012
-
65
-
정지용과 번역
-
허윤회;
성균관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05,
pp.98-131)
-
66
-
1960년대 여성시에 나타난 탈경계적 여성의식 연구 -『한국여류문학전집』(1967)을 중심으로
-
공라현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24,
pp.117-195)
-
67
-
고려 문단에서 止浦 金坵의 문학적 위상에 대한 小考 -역대 止浦 시문에 대한 평가와 일화를 중심으로-
-
전가람;
전북대학교;
(대동한문학(大東漢文學),
v.65,
2020,
pp.209-237)
-
68
-
기형도의 시와 미결정의 리얼리티
-
하재연;
고려대학교;
(영주어문,
v.58,
2024,
pp.211-240)
-
69
-
서정주의 소년기 이념 전향에 미친 러시아 문학의 영향 고찰 : 고리키와 투르게네프를 중심으로
-
노홍주;
윤재웅;
동국대학교;
동국대학교;
(동악어문학,
v.0,
2017,
pp.337-359)
-
70.
- 洪世泰의 使行文學 연구
- 장진엽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74 p., 201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