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4건 중 154건 출력
, 7/16 페이지
-
61
-
1990년대 이후 고구려 문자자료의 출토현황과 연구동향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10,
pp.81-128)
-
62
-
遼河 中上流 東岸地域의 高句麗 城과 地方支配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17,
2002,
pp.229-274)
-
63
-
廣開土王陵碑의 문장구성과 서사구조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영남학,
v.0,
2014,
pp.7-41)
-
64
-
高句麗 초기 積石墓의 기원과 築造集團의 계통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11,
pp.173-228)
-
65
-
총론:6~8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연구의 진전을 기대하며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06,
pp.19-30)
-
66
-
高句麗의 種族 起源에 대한 일고찰 ― 夫餘別種說과 貊族說의 정합적 이해를 중심으로 ―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사림,
v.0,
2011,
pp.105-140)
-
67
-
6세기말~7세기초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고구려 대외정책의 변화 -대수관계(對隋關係)를 중심으로-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02,
pp.1-36)
-
68
-
4세기 후반~5세기 초엽 고구려(高句麗)와 백제(百濟)의 국경 변천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12,
pp.169-213)
-
69
-
韓・中・日 3國 學界의 ⟨集安高句麗碑⟩ 硏究動向과 課題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16,
pp.125-172)
-
70
-
6~8세기 신라 왕궁의 구조와 정무·의례 공간의 분화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14,
pp.33-7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