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
-
한일 한어 학습서에 나타난 친족 어휘 비교
-
연규동;
조정아;
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;
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;
(언어학,
v.0,
2021,
pp.87-112)
-
62
-
훈민정음 후음자 ‘ㅇ’의 기능과 파스파 문자
-
연규동;
최계영;
연세대학교;
서울대학교;
(國語學,
v.0,
2019,
pp.83-109)
-
63
-
조선왕조실록 여진 인명 표기의 교정
-
연규동;
강은지;
연세대학교;
서울대학교;
(언어학,
v.0,
2017,
pp.105-134)
-
64
-
‘사탕’의 의미 분화와 한국 한자어 ‘설탕’의 형성
-
조정아;
연규동;
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;
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;
(국학연구,
v.0,
2021,
pp.455-486)
-
65
-
조선시대 유해류 역학서의 질병 관련 어휘 연구
-
조정아;
연규동;
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;
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;
(코기토,
v.96,
2022,
pp.63-109)
-
66
-
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‘文字’의 의미
-
연규동;
이전경;
김은희;
김남시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12,
pp.143-182)
-
67
-
조선왕조실록 국역본에 나타난 文字의 번역 문제
-
연규동;
이전경;
김은희;
김남시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(인문과학,
v.96,
2012,
pp.45-65)
-
68.
-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특징에 대한 고찰
- 이성실
-
충북대학교, 국내석사,
iv, 77 p., 20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