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35건 중 535건 출력
, 7/54 페이지
-
61
-
연행록에 보이는 동물 기사의 유형과 특징
-
신익철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동방한문학,
v.0,
2015,
pp.93-120)
-
62
-
연행록의 전승현황과 그 문학담론
-
임기중;
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02,
pp.31-52)
-
63
-
對淸使行의 종결과 마지막 연행록
-
임준철;
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08,
pp.141-180)
-
64
-
중국 학계의 연행록 연구
-
홍성구;
경북대학교;
(대동한문학(大東漢文學),
v.0,
2011,
pp.93-121)
-
65
-
홍대용 연행록의 구성방식과 성격
-
정훈식;
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05,
pp.59-82)
-
66
-
Varying Perceptions of the World in the Late Joseon Period
-
Lee, Myung-jae;
;
(朝鮮時代史學報,
v.78,
2016,
pp.171-210)
-
67
-
연행 지식·정보의 수집·정리 및 확대·재생산 -연행록의 형성 과정과 특징을 중심으로-
-
최식;
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;
(동방한문학,
v.0,
2018,
pp.53-104)
-
68
-
19세기 연행록에 나타난 민속연희 - 『薊山紀程』을 中心으로
-
김미경;
;
(실천민속학연구,
v.6,
2004,
pp.133-167)
-
69
-
토론-유용강성생님의 "연행록과 중국학 연구"에 대한 청익
-
심경호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24,
2001,
pp.151-160)
-
70.
- 洪良浩家 燕行錄 硏究
- 김동건
-
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국내박사,
viii, 265 p., 20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