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
-
고전시가 향유 및 학습 방법으로서의 번역–시조를 예로-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20,
pp.5-33)
-
62
-
세계화 시대, 시조의 고유성과 보편성 탐색 -형식 논의로 본 시조의 매력-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우리말글,
v.87,
2020,
pp.357-389)
-
63
-
지리적 경계 넘기와 심리적 좌절의 이야기, ⟨만언사⟩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53,
2021,
pp.33-63)
-
64
-
예비교사의 교과 통합 수업 능력 함양을 위한 국어과 강좌 운영 사례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국어교육,
v.0,
2022,
pp.291-322)
-
65
-
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현장으로부터의 질문과 도전 - 교육과정 기획자로서의 교사의 출현 -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22,
pp.45-76)
-
66
-
문학하는 시대, 다시 문학 속으로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23,
pp.261-291)
-
67
-
문학치료학과 문학교육학 사이(in-between): 따로 또 같이 그리는 미래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70,
2024,
pp.417-450)
-
68
-
변혁적 역량을 위한 국어교육 학습 공간(국어 교실)에 대한 성찰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국어교육,
v.0,
2024,
pp.1-34)
-
69
-
럿거스 대학의 시조 수업 사례 연구
-
염은열;
유영미;
청주교육대학교;
Rutgers University;
(국어교육,
v.0,
2020,
pp.233-272)
-
70
-
초기 문해력 지원을 위한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 연구: 학술잡지 『초기문해력 교육』을 중심으로
-
염은열;
김미혜;
청주교육대학교;
청주교육대학교;
(독서연구,
v.0,
2021,
pp.197-22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