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926건 중 1,000건 출력
, 7/100 페이지
-
61
-
The United Kingdom’s after Brexit : Focusing on political and diplomatic aspects
-
Kim, Yongmin;
;
(국제지역연구 =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,
v.24,
2020,
pp.89-108)
-
62.
- 地方政治過程에서의 政黨特性에 관한 比較硏究 : 한국과 영국ㆍ미국의 제도분석을 중심으로
- 이종훈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v, 224p., 2002
-
63
-
독일과 영국 청소년의 정당 활동과 정치교육 - 우리나라 참정권 교육에의 함의 -
-
임유진;
김명정;
강원대학교;
강원대학교;
(법교육연구,
v.17,
2022,
pp.159-181)
-
64
-
인종주의와 빈곤의 정치학 : 2001년 영국 올덤 소요사태
-
염운옥;
고려대학교;
(중앙사론,
v.0,
2012,
pp.417-449)
-
65
-
서양의 정치교육 체제와 내용 - 미국ㆍ영국을 중심으로
-
홍득표;
;
(교육문화연구,
v.4,
1998,
pp.201-220)
-
66
-
유럽통합과 장 모네의 정치사상 - 영국 경험론을 중심으로 -
-
이병택;
서울대학교;
(영국연구,
v.0,
2010,
pp.51-73)
-
67
-
영국 신조합조의 노동운동과 노동조합의 정치세력화(1889~1900)
-
안영민;
강원대학교;
(江原史學,
v.0,
2004,
pp.447-470)
-
68
-
전후 영국의 ‘합의의 정치’의 본질―정책과 이념의 수렴 여부를 중심으로―
-
홍석민;
연세대학교;
(영국연구,
v.0,
2013,
pp.337-373)
-
69
-
영국 자유당의 몰락, 우연인가 필연인가? -계급정치의 한계를 넘어서, 1900-18-
-
홍석민;
연세대학교;
(영국연구,
v.0,
2008,
pp.271-298)
-
70
-
[특집: 사회주의의 전통과 방법] 영국의 윤리 사회주의 전통과 노동당의 새로운 정치
-
박영신;
;
(현상과 인식 = The Korean journal of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,
v.21,
1997,
pp.59-8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