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066건 중 1,000건 출력
, 7/100 페이지
-
61
-
唐代 墓誌銘에 나타난 中國起源 高句麗 遺民 一族의 현황과 그 가계 기술 -고구려 유민(遺民)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제언-
-
안정준;
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역사와 현실,
v.0,
2016,
pp.35-69)
-
62
-
당의 고구려 유민 정책과 유민들의 동향
-
이규호;
동국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16,
pp.141-172)
-
63
-
陳洪綬의 遺民意識과 〈何天章行樂圖〉
-
張俊九;
;
(미술사연구 = Journal of art history,
v.2008,
2008,
pp.219-246)
-
64
-
고구려 유민의 항쟁과 문화보존
-
김병호;
;
(대한치과보철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,
v.1998,
1998,
pp.81-81)
-
65
-
조선후기 귀화 한인(漢人)과 황조유민(皇朝遺民) 의식
-
우경섭;
인하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2,
pp.333-365)
-
66
-
Review of two recently introduced epitaphs of Koguryo refugees: The epitaph of Lee Inhoe and the epitaph of Mrs. Cheon
-
Jang, Byungjin;
;
(白山 學報,
v.127,
2023,
pp.171-186)
-
67
-
Stories of Goguryeo described in Tomb Epitaphs Made for the Goguryeo Refugees in Dang
-
Jang, Byung-jin;
;
(역사와 현실,
v.117,
2020,
pp.225-256)
-
68
-
日本列島의 百濟 遺民에 대하여
-
이근우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23,
2001,
pp.25-62)
-
69
-
고대일본의 ‘동국’과 ‘한반도유민’-8세기를 중심으로-
-
송완범;
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7,
pp.137-159)
-
70
-
遺民墓誌銘을 통해본 唐의 東方政策과 高句麗 遺民의 동향
-
여호규;
拜根興;
;
(동양학,
v.0,
2017,
pp.73-10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