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00건 중 600건 출력
, 7/60 페이지
-
61
-
박흥식 교수의 <이갈암 성리학의 조선유학사적 의의>에 대한 논평
-
최재목;
;
(철학논총,
v.12,
1996,
pp.29-34)
-
62
-
명재 윤증의 유학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
-
리홍군;
연변대학;
(유학연구,
v.26,
2012,
pp.81-106)
-
63
-
[이 책을 말한다]유학사 범위의 확장과 한국 유교의 종교적 각성
-
박학래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11,
2004,
pp.407-414)
-
64
-
艮齋 田愚의 유학사적 위상과 그 영향
-
박학래;
군산대학교;
(율곡학연구,
v.50,
2022,
pp.215-255)
-
65
-
타카하시 토오루, 배종호, 한국유학사
-
조남호;
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;
(대동철학,
v.0,
2011,
pp.113-128)
-
66
-
민족주의적 한국유학사 서술의 재조명 - 현상윤의 조선유학사를 중심으로
-
정성희;
성균관대학교;
(유학연구,
v.37,
2016,
pp.187-218)
-
67
-
구암학 연구의 자료 범위와 한국유학사에서 구암 이정의 역할
-
정우락;
경북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22,
pp.45-82)
-
68
-
예학시대 유학사상의 이해문제
-
윤사순;
고려대학교;
(국학연구,
v.0,
2008,
pp.5-16)
-
69
-
⟨書經⟩ 「虞書」의 내용체계와 유학사상적 의미
-
고대혁;
경인교육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4,
pp.137-168)
-
70
-
담헌의 유학사상과 문학관
-
최신호;
가톨릭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1990,
pp.1-1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