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203건 중 1,000건 출력
, 7/100 페이지
-
61
-
복수하는 ‘미친’ 여자들과 가족의 해체 - '비밀은 없다'를 중심으로
-
유진월;
한서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학과;
(인문사회과학연구 :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,
v.18,
2017,
pp.297-318)
-
62
-
대한제국기 서구식 문관 대례복 제도의 개정과 국가정체성 상실
-
이경미;
미주리 주립대학교;
(服飾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,
v.61,
2011,
pp.103-116)
-
63
-
19세기말 서구식 대례복 제도에 대한 조선의 최초 시각 -서계(書契) 접수 문제를 통해-
-
이경미;
서울대학교 박물관;
(한국의류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,
v.33,
2009,
pp.732-740)
-
64
-
동영상에서 움직임을 이용한 빠른 허프 원 찾기
-
원혜민;
이경미;
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전산정보통신학과;
덕성여자대학교 컴퓨터학과;
(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=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,
v.11,
2010,
pp.31-39)
-
65
-
한국어 유아 음성인식을 위한 수정된 Mel 주파수 캡스트럼
-
유재권;
이경미;
(주)파수닷컴;
덕성여자대학교 컴퓨터학과;
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13,
2013,
pp.1-8)
-
66
-
남녀유별 예(禮)의식 [내외법(內外法)] 이 복식생활에 미친 영향 -조선후기 남녀 복식생활을 중심으로-
-
이경미;
서울대학교 의류학과;
(服飾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,
v.57,
2007,
pp.105-117)
-
67
-
조선후기 類書類에 나타난 服飾觀 -『芝峯類說』『星湖僿說』『松南雜識』를 중심으로-
-
이경미;
;
(역사민속학,
v.0,
2010,
pp.73-114)
-
68
-
연극의 정치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 -실험을 통한 감각의 분할과 타자의 현시-
-
이경미;
고려대학교;
(한국연극학,
v.1,
2012,
pp.171-196)
-
69
-
장서각 소장 근대 복식 자료 검토 -『官服章圖案』과 『禮服』의 작성 시기 추정을 중심으로-
-
이경미;
한경대학교;
(藏書閣,
v.0,
2019,
pp.66-103)
-
70
-
韓·中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남장(男裝)
-
이경미;
동서대학교;
(중국학,
v.0,
2013,
pp.65-9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