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.
- 체화된 인지(embodied cognition) 이론과 트랜스휴머니즘
- 이은빈
-
서울대학교, 국내석사,
v, 104 p., 2018
-
62.
- 후설 현상학의 범주적 직관
- 이종우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93, 2016
-
63.
- 후설의 비데카르트적 환원 속 데카르트주의
- 이하영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x, 155, 2022
-
64.
- 봄은 자신의 봄을 볼 수 있는가? -후설 현상학의 대상과 방법에 대한 미셸 앙리의 삶의 현상학의 물음-
- 정성경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x, 160, 2016
-
65.
- 후설에게 있어서 의사소통적 공동체의 발생적 현상학
- 안준상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26, 2015
-
66.
- 상호주관적 명증의 현상학 : 후설을 토대로, 그리고 후설을 넘어서
- 박지영
-
서울대학교, 국내박사,
vii, 213 p., 2018
-
67.
- 『내적 시간의식의 현상학』에서 시간의식의 구성단계 연구
- 이도경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123, 2021
-
68.
- 보육교사가 경험한 회복탄력성
- 유한경
-
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ⅴ, 67 p., 2021
-
69.
- 상담전문가의 소명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
- 안혜진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, 2020
-
70
-
독자의 텍스트 이해와 지향성
-
김도남;
서울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교육,
v.31,
2020,
pp.87-10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