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70건 중 570건 출력
, 7/57 페이지
-
61
-
초등학생의 사칙계산 문장제 해결 보정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
-
이봉주;
문승호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고양화정초등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C :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,
v.10,
2007,
pp.141-149)
-
62
-
입체지적 구현을 위한 구분지상권의 관리에 관한 연구
-
김현영;
이봉주;
서울특별시 토지관리과;
서울특별시;
(지적과 국토정보 = Journal of cadastre & land informatix,
v.51,
2021,
pp.107-123)
-
63
-
중등수학 예비교사 교육에서 협동마이크로티칭의 활용 가능성 탐색
-
이봉주;
윤용식;
경북대학교;
제주대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A. The Mathematical Education,
v.53,
2014,
pp.399-412)
-
64
-
초.중등학교 수학교사의 창의성 신장 교수 행동에 대한 분석
-
이봉주;
경북대학교 수학교육과;
(한국수학사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,
v.25,
2012,
pp.77-95)
-
65
-
수학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창의성과 인성 교육 전문성 신장 내용요소 탐색
-
김현아;
이봉주;
사곡고등학교;
경북대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A. The Mathematical Education,
v.55,
2016,
pp.485-501)
-
66
-
문제해결 과정에서 메타인지적 활동 안내를 통한 고등학생의 메타인지 능력 활성화 가능성 탐색
-
이봉주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A. The Mathematical Education,
v.43,
2004,
pp.217-231)
-
67
-
수학 영재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문제 개발
-
신인선;
안대영;
이봉주;
한국교원대학교;
음성고등학교;
진주고등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E: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,
v.9,
1999,
pp.257-266)
-
68
-
Sfard의 구상화(Reification) 이론에 근거한 중·고등학생의 이차방정식 근의 공식 개념 형성 수준 분석
-
장현석;
이봉주;
경북대학교 대학원;
경북대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A. The Mathematical Education,
v.57,
2018,
pp.231-246)
-
69
-
초.중.고등학생의 수학과 내용 영역별 학업성취도 비교 분석 -2003~200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-
-
이봉주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한국수학사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,
v.23,
2010,
pp.59-82)
-
70
-
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효과분석 - 참여 학교와 비참여 학교 아동의 발달에 대한 종단적 비교
-
이봉주;
김예성;
김광혁;
;
(한국청소년연구 = Studies on Korean youth,
v.19,
2008,
pp.169-19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