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54건 중 454건 출력
, 7/46 페이지
-
61
-
초월성의 이원적 인식과 천관념-이규보와 일연을 중심으로-
-
박대복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75,
2002,
pp.171-203)
-
62
-
고려시대 일연과 비슬산
-
한기문;
경북대학교;
(역사교육논집,
v.0,
2017,
pp.129-154)
-
63
-
麟角 一然의 高僧 認識 ― 『三國遺事』 「義解」편을 中心으로 ―
-
명계환;
독립연구자;
(한국불교사연구,
v.0,
2015,
pp.144-175)
-
64
-
일연의 화회사상
-
조수동;
경산대;
(철학논총,
v.3,
2002,
pp.369-390)
-
65
-
A Study on the Historical Recognition of Il-yeon
-
Jang, Jung-tae;
;
(韓國思想과 文化 = Korean thoughts and culture,
v.100,
2019,
pp.807-842)
-
66
-
삼국유사에 나타난 일연(一然)의 역사의식이 갖는 한국교육사적 의의
-
예철해;
경희대학교;
(종교교육학연구,
v.24,
2007,
pp.225-244)
-
67
-
寂滅寶宮의 변천과 사상-一然을 통해 본 5대보궁에 대한 정합적 이해-
-
장성재;
동국대학교;
(한국불교학,
v.67,
2013,
pp.125-159)
-
68
-
一然의 「重編曹洞五位」에 보이는 사상과 역사성
-
채상식;
부산대학교;
(지역과 역사,
v.0,
2012,
pp.217-242)
-
69
-
일연의 균형으로서 글쓰기 - 삼국유사 서술방법 연구 1 -
-
고운기;
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09,
pp.37-63)
-
70
-
普覺國尊碑 集字의 特性과 一然의 俗姓 考證
-
김병헌;
;
(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,
v.23,
2017,
pp.191-21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