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73건 중 373건 출력
, 7/38 페이지
-
61
-
정인홍이 본 스승 남명 그리고 정구와의 갈등
-
김경수;
경상대학교;
(孔子學,
v.0,
2018,
pp.205-242)
-
62
-
조선 중기 낙중학과 정구의 ‘한강학
-
홍원식;
계명대학교;
(한국학논집,
v.0,
2012,
pp.7-22)
-
63
-
A Study on the Academic View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Hangang Jeong Gu
-
Yeo, Sang Woon;
;
(民族文化論叢= The journal of Korean cultural studies,
v.82,
2022,
pp.521-557)
-
64.
- 남자 정구선수들의 학교급별 및 포지션에 따른 정신력과 경쟁불안의 차이
- 이종민
-
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51 p., 2011
-
65
-
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the Joseon Soft Tennis Associ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
-
Kim, Mi-Kyung;
Jung-Hee, Ha;
;
(한국체육과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,
v.32,
2023,
pp.31-42)
-
66
-
한강 정구와 조선 중기 대구권 성리학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
-
장윤수;
대구교육대학교?임종진경북대학교;
(사회사상과 문화,
v.8,
2003,
pp.187-238)
-
67
-
일상재구성법(DRM)을 활용한 실업정구선수들의 행복 탐색
-
한승진;
백성수;
이용현;
;
(한국체육과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,
v.20,
2011,
pp.583-594)
-
68
-
지산 조호익과 한강 정구 - 양인(兩人)의 교유와 양 문하를 오간 사람들 -
-
박소희;
영남대학교;
(석당논총,
v.0,
2024,
pp.83-110)
-
69
-
한강 정구의 학문관과 교육적 함의 고찰
-
여상운;
부산대학교;
(민족문화논총,
v.0,
2022,
pp.521-557)
-
70
-
노근리사건의 역사적 및 국제법적 성격과 향후과제
-
이재곤;
정구도;
;
(法學硏究 : 忠南大學校 法學硏究所,
v.19,
2008,
pp.235-28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