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8건 중 188건 출력
, 7/19 페이지
-
61
-
정무론
-
정인보;
;
(세종학연구,
v.3,
1988,
pp.61-80)
-
62
-
1930년대 정인보, 김소월의 전통 한시 국역(國譯) 연구
-
정소연;
이화여자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17,
pp.191-226)
-
63
-
1930년대 조선학 운동가들의 ‘실’담론과 ‘실학’개념의 형성 I - 정인보의 ‘조선학’과 ‘실사구시의 학’을 중심으로 -
-
김윤경;
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철학연구소;
(양명학,
v.0,
2022,
pp.91-128)
-
64
-
여수(麗水) 옥천사(玉泉寺)
-
정인보;
;
(시조시학 = Poetics & Sijo,
v.35,
2010,
pp.105-105)
-
65
-
동방학연구소의 학술 활동과 정인보의 학풍 계승
-
도현철;
연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22,
pp.29-60)
-
66
-
식민지시기 京鄕 한학자들의 교유–변영만, 조긍섭과 정인보, 하겸진의 교유를 중심으로
-
김진균;
성균관대학교;
(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,
v.60,
2021,
pp.275-300)
-
67
-
근대기 ‘한국철학’의 형성과 리학(理學)의 철학적 전환 — 박은식과 정인보를 중심으로 —
-
김우형;
연세대학교;
(한국학논집,
v.0,
2024,
pp.209-242)
-
68
-
위당 정인보 사상의 양명학적 특징과 도덕교육적 함의
-
김민재;
안동대학교;
(유학연구,
v.37,
2016,
pp.91-120)
-
69
-
근대 동아시아 지평에서 본 정인보 ‘조선학’의 사상적 토대
-
김윤경;
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양명학,
v.0,
2019,
pp.249-288)
-
70
-
박은식과 정인보의 자아와 주체관 연구 - 진아(眞我)론과 실심(實心)론의 철학적 성격을 중심으로
-
김우형;
연세대학교(미래캠퍼스) 근대한국학연구소;
(율곡학연구,
v.48,
2022,
pp.213-24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