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5건 중 185건 출력
, 7/19 페이지
-
61
-
제주-대한해협의 표층해양의 용존 탄화수소
-
조기웅;
정경화;
신종헌;
김영일;
정창수;
홍기훈;
한국해양연구소;
한국해양연구소;
한국해양연구소;
한국해양연구소;
한국해양연구소;
한국해양연구소;
(바다 : 한국해양학회지 = The sea :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,
v.5,
2000,
pp.374-380)
-
62
-
가막만 빈산소 수괴의 특성
-
김정배;
이상용;
유준;
최양호;
정창수;
이필용;
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;
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;
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;
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;
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;
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;
(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,
v.9,
2006,
pp.216-224)
-
63
-
2002년 통영연안의 적조발생전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특성
-
강양순;
권정노;
손재경;
정창수;
홍석진;
공재열;
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;
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;
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;
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;
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;
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;
(한국수산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,
v.36,
2003,
pp.515-521)
-
64
-
동해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에 미치는 해황의 특성
-
심정민;
황재동;
정창수;
이용화;
전경암;
권기영;
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;
국립수산과학원;
국립수산과학원;
국립수산과학원;
국립수산과학원;
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;
(한국환경과학회지 =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,
v.19,
2010,
pp.1385-1395)
-
65
-
한국사회학 어디로 가야하나
-
김일철;
김미숙;
배용광;
김성국;
이각범;
김용학;
정창수;
김진균;
조형;
박명규;
최석만;
박영신;
황성모;
;
(한국사회학 = Korean journal of sociology,
v.22,
1988,
pp.205-227)
-
66
-
남해안 연안에서 적조생물, Cochlodinium polykikoides, Gyrodinium impudicum, Gymnodinium catenatum의 출현상황과 온도, 염분, 조도 및 영양염류에 따른 성장특성
-
이창규;
김형철;
이삼근;
정창수;
김학균;
임월애;
국립수산진흥원 적조연구과;
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;
국립수산진흥원 적조연구과;
국립수산진흥원 적조연구과;
국립수산진흥원 어장환경부;
국립수산진흥원 적조연구과;
(한국수산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,
v.34,
2001,
pp.536-544)
-
67
-
2004년 한국 남해연안 해역에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의 시·공간적 특성 조사
-
조은섭;
정창수;
김정배;
권정노;
안경호;
유준;
국립수산과학원;
국립수산과학원;
국립수산과학원;
국립수산과학원;
국립수산과학원;
국립수산과학원;
(한국환경과학회지,
v.15,
2006,
pp.539-562)
-
68
-
동해 유광대 박테리아의 효소 활동도와 생산력의 유기성 폐기물투기에 대한 반응
-
송기돈;
최동한;
이윤;
홍기훈;
정창수;
김석현;
조병철;
서울대학교 해양학과 및 해양연구소;
서울대학교 해양학과 및 해양연구소;
국립수산진흥원 서해수산연구소;
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화학연구단;
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화학연구단;
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화학연구단;
서울대학교 해양학과 및 해양연구소;
(바다 : 한국해양학회지 = The sea :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,
v.4,
1999,
pp.275-288)
-
69
-
마산만에서 Ra 동위원소의 농도를 결정하는 인자
-
김영일;
정창수;
김석현;
문덕수;
박준건;
서승모;
최준선;
양동범;
홍기훈;
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기후본부;
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기후본부;
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기후본부;
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기후본부;
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기후본부;
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기후본부;
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기후본부;
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기후본부;
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기후본부;
(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,
v.4,
2001,
pp.25-34)
-
70
-
제주해협을 통과하는 화학물질 플럭스
-
정창수;
홍기훈;
김석현;
박준건;
김영일;
문덕수;
장경일;
남수용;
박용철;
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환경 기후연구본부;
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환경 기후연구본부;
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환경 기후연구본부;
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환경 기후연구본부;
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환경 기후연구본부;
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환경 기후연구본부;
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환경 기후연구본부;
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환경 기후연구본부;
인하대학교 생물해양학부;
(바다 : 한국해양학회지 = The sea :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,
v.5,
2000,
pp.208-21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