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40건 중 140건 출력
, 7/14 페이지
-
61
-
18세기 후반 石室書院과 지식·지식인의 재생산
-
조성산;
성균관대학교;
(역사와 담론,
v.0,
2013,
pp.167-206)
-
62
-
18세기 洛論系의 ⟨磻溪隨錄⟩ 인식과 洪啓禧 經世學의 思想的 基盤
-
조성산;
고려대학교;
(조선시대사학보,
v.0,
2004,
pp.135-166)
-
63
-
18세기 후반-19세기 전반 조선의 碑學 유행과 그 의미
-
조성산;
고려대학교;
(한국학,
v.33,
2010,
pp.129-160)
-
64
-
宋時烈의 性理學 이해와 現實觀
-
조성산;
고려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04,
pp.71-103)
-
65
-
18세기 초반 낙론계 천기론(天機論)의 성격과 사회적 기능
-
조성산;
고려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02,
pp.100-131)
-
66
-
18세기 洛論系 學脈의 변모양상 연구
-
조성산;
고려대학교;
(역사교육,
v.0,
2007,
pp.63-95)
-
67
-
18세기 후반~19세기 전반 ‘朝鮮學’ 형성의 전제와 가능성
-
조성산;
고려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09,
pp.179-240)
-
68
-
17세기 서울·경기지역 西人의 心學 연구경향과 그 성격
-
조성산;
고려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04,
pp.269-309)
-
69
-
18세기 후반~19세기 전반 연암그룹 지식인들의 天 인식
-
조성산;
성균관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15,
pp.421-458)
-
70
-
18세기 후반~19세기 전반 주자학적 지식체계의 균열과 그 의미
-
조성산;
고려대학교;
(역사교육,
v.0,
2009,
pp.61-10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