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
-
황룡사 중건가람 금당지 기단축조술의 계통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문화사학,
v.0,
2009,
pp.45-62)
-
62
-
飛鳥時代 倭 檜?寺址의 百濟 建築考古文化
-
조원창;
기호문화재연구원;
(한국상고사학보,
v.58,
2007,
pp.107-129)
-
63
-
신라 와적기단의 형식과 편년
-
조원창;
기호문화재연구원;
(신라문화,
v.0,
2006,
pp.73-100)
-
64
-
백제 판단첨형식 연화문의 형식과 편년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42,
2009,
pp.132-153)
-
65
-
공주지역 사지 연구 - 전 백제사지를 중심으로 -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백제문화,
v.0,
1999,
pp.113-161)
-
66
-
연구논문 : 사찰건축으로 본 가구기단의 변천 연구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백제문화,
v.0,
2003,
pp.35-63)
-
67
-
연구논문 : 법천리(法泉里) 4호분 출토 청동개(靑銅蓋) 연화돌대문(蓮花突帶文)의 의미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백제문화,
v.0,
2004,
pp.289-306)
-
68
-
연화문으로 본 고령 고아동 대가야 벽화고분의 추가장 시기 검토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백제문화,
v.0,
2008,
pp.33-51)
-
69
-
부여 화지산유적 2019-2호 건물지의 건축고고학적 검토
-
조원창;
재단법인 국가문화유산연구원;
(마한백제문화,
v.44,
2024,
pp.68-92)
-
70
-
백제 웅진기 대통사 창건 수막새의 형식과 계통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백산학보,
v.0,
2019,
pp.327-36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