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5건 중 125건 출력
, 7/13 페이지
-
61
-
‘항미원조’(抗美援朝)와 중국조선족 문학의 형성 : 연변대학교 학생문예지 『개간』(開墾)을 예로
-
석길매;
최창륵;
연변대학교;
南京大學;
(동방학지,
v.0,
2022,
pp.331-364)
-
62.
- A Study of Untranslatability in Translating English Texts into Chinese and Korean
- 이승선
-
창원대학교, 국내석사,
II,61 leaves, 2007
-
63.
- 도륭(屠隆)의 『사라관청언(娑羅館淸言)』 역해
- 남칠원
-
동의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125p., 2006
-
64
-
PBL을 활용한 ‘중국어 번역 실습’ 수업 사례 분석 — 전문대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
-
노승숙;
서은희;
신구대학교;
가천대학교;
(중국문화연구,
v.0,
2023,
pp.125-148)
-
65.
- 中國 5世代映畵와 尋根意識 硏究
- 동려생
-
경상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i, 194 p., 2009
-
66
-
교쿠테이 바킨과 일본신화
-
홍성준;
단국대학교;
(日本學硏究,
v.54,
2018,
pp.35-53)
-
67.
- 중국도서관분류법과 중문도서분류법의 비교 분석
- 왕이천
-
대구대학교 대학원,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86, 2023
-
68.
- 식민지 후기 조선 지식인의 베이징 서사 연구
- 고평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95 p., 2023
-
69.
- 小波 方定煥의 장르 구분 연구 : 『어린이』지를 중심으로
- 장정희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116 p., 2009
-
70.
- 광복 후 중국조선족 문학사 연구
- 차호걸
-
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, 국내석사,
106 p., 20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