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.
- 서울시 노년층 자전거 이용 행태와 건조 환경 간의 비선형적 관계 연구
- 이현정
-
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iv, 72 p., 2025
-
62
-
조선시대 문헌에 나타난 선잠제향 복식 검토
-
이민주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포은학연구,
v.19,
2017,
pp.219-253)
-
63
-
조선 개국과 한양 조씨 가문의 역할
-
류주희;
국사편찬위원회;
(포은학연구,
v.33,
2024,
pp.123-157)
-
64.
- 『受爵儀軌』에 나타난 儀禮와 服飾 연구 : 佾舞服을 중심으로
- 정영란
-
단국대학교, 국내석사,
xii, 142 p., 2005
-
65
-
나주 지역 고려시대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
-
김희태;
전라남도 도청;
(역사학연구,
v.0,
2024,
pp.77-112)
-
66
-
백제 지명 “加知奈縣 一云 加乙乃縣”의 어원적 연구
-
강헌규;
공주대학교;
(한글,
v.0,
2014,
pp.5-62)
-
67
-
조선시대 문과 중시 급제자 연구
-
원창애;
;
(歷史와實學 = The Journal of History and Korean Practical Thought Studies,
v.39,
2009,
pp.89-134)
-
68
-
조선 전기 지리지 속 우산 · 무릉도 기사의 이해에 관한 제언 - 쓰카모토 다카시(塚本孝) 교수의 논설에 대한 비평을 겸하여
-
소순규;
한양대학교;
(영토해양연구,
v.0,
2024,
pp.159-185)
-
69
-
고려시대의 도서(섬)의 인식과 개발
-
홍영의;
국민대학교;
(한국학논총,
v.48,
2017,
pp.33-72)
-
70.
- Exploring the Role of Built Environment and Safety on Traffic Perceptions in adopting a Future Bike- Sharing System project at Guayaquil, Ecuador
- Bermudez Delgado, Janio Andres
-
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76 p., 202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