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
-
堤上의 未斯欣 구출과정과 신라의 성장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신라사학보,
v.0,
2012,
pp.5-42)
-
62
-
안정복의 신라 국가제사에 대한 이해와 그 의미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한국실학연구,
v.0,
2016,
pp.457-489)
-
63
-
신라의 6村과 山嶽祭祀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신라사학보,
v.0,
2011,
pp.75-111)
-
64
-
신라의 嘉禮 수용과 運用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한국고대사탐구,
v.0,
2014,
pp.81-109)
-
65
-
신라 ‘三姓交立’에 대한 조선시대의 인식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한국고대사탐구,
v.0,
2011,
pp.145-176)
-
66
-
신라 국호의 양상과 ‘계림’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신라사학보,
v.0,
2016,
pp.1-32)
-
67
-
일제강점기 한국 고대 건국신화에 대한 이해와 인식 -‘滿鮮史’와 日鮮同祖論을 중심으로-
-
채미하;
고려대학교;
(동아시아고대학,
v.0,
2019,
pp.377-404)
-
68
-
백제 웅진시기 조상제사와 壇
-
채미하;
경희사이버대학교;
(한국고대사탐구,
v.0,
2019,
pp.185-220)
-
69
-
탐라 건국신화에 보이는 3神女의 역할과 위상
-
채미하;
고려대학교;
(탐라문화,
v.0,
2018,
pp.7-36)
-
70
-
666년 고구려의 唐 封禪儀禮 참여와 그 의미
-
채미하;
고려대학교 동아시아문화교류연구소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17,
pp.48-9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