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317건 중 1,000건 출력
, 7/100 페이지
-
61
-
19세기 언양 천주교 교우촌 사례분석
-
劉仁實;
;
(釜大史學,
v.25,
2002,
pp.23-60)
-
62
-
정조의 천주교 인식 배경과 진산사건의 정치적 함의
-
Hyeryun Lim,;
;
(史叢,
v.96,
2019,
pp.45-78)
-
63
-
천주교의 신앙 자유 획득과 선교 자유 확립
-
노용필;
;
(敎會史硏究 = Research journal of Korean church history,
v.30,
2008,
pp.153-199)
-
64.
- 한국 천주교 전래(傳來)에 대한 역사적 의미 고찰
- 류인열
-
대구가톨릭대학교, 국내석사,
iii, 70 p., 2009
-
65
-
일제시기 서울지역 천주교 신자 단체 연구
-
백병근;
;
(敎會史硏究 = Research journal of Korean church history,
v.32,
2009,
pp.111-151)
-
66
-
무교(巫敎)와 천주교 종교 의례의 상호 소통 구조에 대한 고찰 - 조선 후기의 접촉을 중심으로
-
이대근;
;
(神學展望,
v.177,
2012,
pp.252-296)
-
67
-
Poongsuwon Catholic Community and the life of catholics - the review of Poongsuwon Catholic Community by literature
-
Kim, Yun-Sun;
;
(敎會史學= Research journal of Catholic church history,
v.16,
2019,
pp.153-208)
-
68.
- 조선후기 민인층의 천주교 수용과 의미
- 김혜미
-
부산대학교, 국내석사,
43 장, 2012
-
69
-
韓國천주교 葬禮노래(煉禱)의 음악구조
-
강영애;
;
(韓國音樂硏究,
v.37,
2005,
pp.5-31)
-
70.
- 전라도 천주교 전래와 이순이 루갈다의 순교
- 이희옥
-
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50 p., 20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