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0건 중 150건 출력
, 7/15 페이지
-
61
-
보조조사 ‘는’의 의미 정보
-
최규수;
부산대학교;
(우리말연구,
v.0,
2016,
pp.27-55)
-
62
-
전제와 함축에 기초한 보조조사의 의미 분석(2) - ‘부터’와 ‘까지’를 중심으로 -
-
최규수;
부산대학교;
(우리말연구,
v.0,
2011,
pp.175-203)
-
63
-
담화의 시간상황과의 대응 관계에 기초한 한국어 시제의 해석
-
최규수;
부산대학교;
(우리말연구,
v.0,
2010,
pp.109-140)
-
64
-
용언의 논항 구조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 - 격 표지의 표시를 중심으로 -
-
최규수;
부산대학교;
(우리말연구,
v.0,
2009,
pp.87-114)
-
65
-
송강 시가에서 자의식의 비유적 형상화와 여성 화자의 의미
-
최규수;
명지대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02,
pp.263-290)
-
66
-
⟨석별가⟩에 나타난 처녀들의 이중 욕망과 ‘철들다’의 문제
-
최규수;
명지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08,
pp.319-350)
-
67
-
주제어와 대조초점 - 어순 및 강세와 관련하여 -
-
최규수;
부산대학교;
(우리말연구,
v.0,
2004,
pp.149-172)
-
68
-
‘-답/이/같/하다’ 구성의 어휘주의적 분석
-
최규수;
부산대학교;
(우리말연구,
v.0,
2019,
pp.47-74)
-
69
-
형태론의 단위와 체계에 대한 국어학사적 검토 -이숭녕과 허 웅의 형태론에 비추어-
-
최규수;
부산대학교;
(우리말연구,
v.0,
2017,
pp.53-80)
-
70
-
⟨부녀가⟩에 나타난 ‘딸로 살아가기’의 문제의식과 자기성찰적 글쓰기의 의미
-
최규수;
명지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16,
pp.263-29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