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75건 중 175건 출력
, 8/18 페이지
-
71
-
1900년대 초 한・일 소설에 나타난 <빈궁> - 히구치 이치요의 「섣달그믐(大つごもり)」과 주요섭의 「개밥」을 중심으로 -
-
정세진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일어일문학연구,
v.130,
2024,
pp.279-297)
-
72.
- 松尾芭蕉의 發句에 나타난 季語 연구
- 송인순
-
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226 p., 2005
-
73.
- 飼料稻栽培における靑刈り稻および再生稻の利用に關する硏究 : Application of soiling and ratooning to forage rice cultivation
- 백진수
-
九州大學, 국외박사,
iv, 102p., 2003
-
74
-
마스무라 야스조(増村保造) 영화로 『치인의 사랑(痴人の愛)』과 『만지(卍)』 읽기
-
김서은;
전남대학교;
(日本文化學報,
v.0,
2009,
pp.203-226)
-
75
-
1920년대 한일 이상주의 문화운동의 딜레마에 대한 일고찰 - ‘수양동우회’와 ‘新しき村’의 비교분석을 통하여-
-
정연욱;
;
(日本語敎育,
v.0,
2013,
pp.185-196)
-
76.
- 일제강점기 한반도 간행 단카(短歌)와 하이쿠(俳句)연구 : 1930년대 '조선색(朝鮮色)' 담론과 창작물을 중심으로
- 김보현
-
高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108장, 2013
-
77
-
田中英光の朝鮮係小考察- 朝鮮在後期が背景になった作品を中心に -
-
김형섭;
부산외국어대학교;
(일어일문학,
v.0,
2007,
pp.203-224)
-
78
-
일제강점기 초등학교 창가에 투영된 식민지교육
-
김주연;
전남대학교;
(일본연구,
v.0,
2012,
pp.283-304)
-
79
-
제국 일본과 번역 -호소이 하지메의 조선 고소설 번역을 중심으로-
-
박상현;
;
(일어일문학연구,
v.71,
2009,
pp.423-443)
-
80
-
『만요슈(萬葉集)』에 보이는 자연과 재해
-
최광준;
신라대학교;
(일어일문학,
v.0,
2012,
pp.255-27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