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620건 중 1,000건 출력
, 8/100 페이지
-
71
-
가정잡지『신계』(1921)와 강경 지역의 여성 담론
-
허윤;
국립부경대학교;
(근대서지,
v.29,
2024,
pp.613-641)
-
72
-
후복막강경을 이용한 신우성형술
-
황보경;
서성일;
김준철;
황태곤;
가톨락대학교;
가톨릭대학교;
가톨릭대학교;
가톨릭대학교;
(Investigative and Clinical Urology,
v.44,
2003,
pp.624-627)
-
73.
- 도시의 역사성 회복을 위한 기초 연구 : 강경읍 근대건축물 조사를 중심으로
- 강승옥
-
목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ⅵ, 90 p., 1998
-
74
-
Nam Gu-man’s hard-line policy on Japan and the territorial dispute over Ulleungdo Island
-
Hong, Jung-won;
;
(朝鮮時代史學報,
v.101,
2022,
pp.223-259)
-
75
-
중국 운⋅산문 결합의 기원에 관한 새로운 고찰 -산스크리트 본 ≪첨뿌-라마여너≫를 중심으로-
-
장춘석;
전남대학교;
(중국인문과학,
v.0,
2012,
pp.161-171)
-
76
-
강경침례교회 초기 역사(1896-1945)
-
송현강;
한남대학교;
(한국기독교와 역사,
v.0,
2015,
pp.5-44)
-
77
-
19세기 강경의 공간적 특징과 생활상
-
이철성;
건양대학교;
(조선시대사학보,
v.0,
2015,
pp.167-201)
-
78
-
동학농민전쟁, 청일전쟁과 淸 중앙의 강경론 - 文廷式의 『文廷式集』을 중심으로
-
강문호;
;
(동학연구 = The Donghak youn gu,
v.27,
2009,
pp.69-86)
-
79
-
敦煌 講經文의 引經 방식 연구
-
장춘석;
전남대학교;
(중국인문과학,
v.0,
2008,
pp.191-209)
-
80.
- 강경읍 보행 네트워크 조성을 통한 근대문화유산의 통합적 활용 계획
- 김순기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x, 141 p., 20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