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4건 중 104건 출력
, 8/11 페이지
-
71
-
근대주의 도시건축 이론의 감춰진 근원 - H. P. Berlage의 도시 건축 및 공공 주거에 관한 연구-
-
강태웅;
단국대학교;
(대한건축학회논문집,
v.25,
2009,
pp.283-290)
-
72
-
‘싸우는 미술(戦ふ美術)’ -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의 미술은 어떻게 싸웠는가 -
-
강태웅;
광운대학교;
(일본학보,
v.0,
2014,
pp.351-361)
-
73
-
만주국 극영화의 제상(諸相)- 만주영화협회의 제작 방향 변화를 중심으로
-
강태웅;
광운대학교 일본학과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07,
pp.91-113)
-
74
-
국가, 전쟁 그리고 ‘일본영화’-진주만 폭격 1주년 기념영화를 중심으로-
-
강태웅;
광운대학교;
(일본역사연구,
v.0,
2007,
pp.109-129)
-
75
-
⟨書 評⟩한상일한정선,『일본, 만화로 제국을 그리다 -조선 병탄과 시선의 정치-』(一潮閣, 2006)
-
강태웅;
광운대학교;
(일본역사연구,
v.0,
2006,
pp.245-250)
-
76
-
김내성(金来成)의 방첩소설 재고 - 일본소설과의 비교를 통하여 -
-
강태웅;
광운대학교;
(비교일본학,
v.35,
2015,
pp.87-103)
-
77
-
일본영화 속의 냉전: ⟨세계대전쟁⟩에서 ⟨모스크바 내 사랑⟩까지
-
강태웅;
광운대학교;
(일본비평,
v.0,
2020,
pp.206-231)
-
78
-
원폭영화와‘피해자’로서의 일본
-
강태웅;
광운대학교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09,
pp.39-59)
-
79
-
식민지 조선영화 연구와 제국일본
-
강태웅;
광운대학교;
(일본학보,
v.0,
2014,
pp.135-143)
-
80
-
우생학과 일본인의 표상 ─1920-40년대 일본 우생학의 전개와 특성─
-
강태웅;
광운대학교;
(日本學硏究,
v.38,
2013,
pp.29-4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