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34건 중 134건 출력
, 8/14 페이지
-
71
-
‘浴沂章’에 대한 이해와 형상화의 전개
-
고연희;
이화여자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16,
pp.397-422)
-
72
-
18세기 문학에서의 색채 표현과 강세황의 회화
-
고연희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4,
pp.113-138)
-
73
-
19세기에 꽃 핀 花卉의 詩畵―金正喜와그一派를중심으로―
-
고연희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11,
2002,
pp.8)
-
74
-
‘비파행도(琵琶行圖)’ 속 기녀(妓女)의 시각화
-
고연희;
규장각한국학연구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16,
pp.37-66)
-
75
-
申緯의 감각과 申命衍의 色彩
-
고연희;
성균관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9,
pp.147-182)
-
76
-
17세기 남성의 여성재현
-
고연희;
이화여자대학교;
(영남학,
v.0,
2003,
pp.259-282)
-
77
-
강산무진(江山無盡), 조선이 그린 유토피아
-
고연희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문화연구,
v.24,
2013,
pp.7-33)
-
78
-
‘신사임당 초충도’ 18세기 회화문화의 한 양상
-
고연희;
이화여자대학교;
(美術史論壇,
v.0,
2013,
pp.127-152)
-
79
-
19세기 남성문인의 미인도 감상 — 재덕을 겸비한 미인상 추구를 중심으로
-
고연희;
고려대학교;
(한국근현대미술사학(구 한국근대미술사학),
v.0,
2013,
pp.41-68)
-
80
-
조선후기 점술서적에 나타나는 가족이미지 - 『귀곡사주경』을 중심으로
-
고연희;
이화여자대학교;
(미술사학보,
v.0,
2015,
pp.61-8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