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325건 중 1,000건 출력
, 8/100 페이지
-
71
-
전환기 중학생의 고전시가 다시 쓰기 양상: 자유학기제 수업을 중심으로
-
박주영,;
정소연,;
;
(교과교육학연구 =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,
v.23,
2019,
pp.377-385)
-
72
-
고전시가의 문학교육적 접근
-
이승남;
;
(동악어문논집,
v.32,
1997,
pp.275-295)
-
73
-
고전시가와 중국 인식의 시대별 추이
-
최재남;
이화여자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3,
pp.33-62)
-
74
-
한반도에서 간행된 일본 고전시가 센류(川柳) 문헌 조사연구
-
Um, In-Kyung;
;
(東亞人文學,
v.24,
2013,
pp.203-233)
-
75
-
[座談會] 중국 고전시 번역을 중심으로
-
지세화;
;
(中國語文論譯叢刊 =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, Literature and Translation,
v.8,
2001,
pp.191-195)
-
76
-
북한 고전시가관의 변모와 현대적 수용양상
-
김문태;
상명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0,
2006,
pp.355-389)
-
77
-
외국인을 위한 고전시가 활용의 한국어/문학/문화의 통합적 교육 - 「動動」을 중심으로
-
양민정;
;
(외국문학연구= Foreign literature studies,
v.29,
2008,
pp.237-261)
-
78
-
중국의 초등학교 《語文》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시가 고찰
-
류창교;
;
(東亞文化 = The Journal of S.N.U. Institute of Asian Studies,
v.50,
2012,
pp.243-269)
-
79.
- 고등학교 고전시가 교육의 수용미학적 접근
- 안미향
-
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1책, 2005
-
80
-
고전시가 연구 및 고전시가 교육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-『고전문학과 교육』에 실린 논문을 중심으로-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09,
pp.5-40)